김용운 (교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용운은 1927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난 수학자이자 비교문화학자이다. 와세다 대학 입학 후 해방과 함께 귀향하여, 목포고등학교와 광주제일고등학교 등에서 수학 교사로 재직하며 수학 대중화에 힘썼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한양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수학사와 한국-일본 비교문화 연구에 몰두했다. 한국수학사학회를 창립하고, 웅진씽크빅의 전신인 웅진용운수학 개발에 참여했으며, 150여 권의 저서를 집필했다. 그의 주요 사상으로는 구조주의 원형사관, 한국-일본 비교문화 연구, 한국 수학사 연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김용운 (교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학자 정보 | |
이름 | 김용운 |
![]() | |
그림 크기 | 160px |
출생일 | 1927년 9월 6일 |
출생지 | 일본 도쿄 |
사망일 | 2020년 5월 30일 |
사망지 | 대한민국 |
직업 | 학자 |
학력 | 캐나다 앨버타 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
분야 | 수학, 철학, 인류학, 언어학 |
하위 분야 | 위상수학, 미적분학, 수학사, 문화인류학, 비교언어학 |
소속 기관 | 한국수학문화연구소 |
영향 받음 | 장기원 |
2. 생애
김용운은 1927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와세다 대학에 입학했으나 해방을 맞아 중퇴하고, 1946년에 아버지의 고향인 전라남도 나주로 귀향하였다.[12] 1947년부터 목포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등에서 수학 교사로 재직하면서 수학 대중화의 필요성을 느껴 여러 수학 대중서를 집필하였다.[13] 10여 년간 교직 생활을 한 후, 미국과 캐나다에서 유학하며 앨버타 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2]
1970년대 후반에는 수학사를 연구하였고, 1980년대부터는 수학과 역사를 접목하여 한국과 일본을 비교문화적으로 분석하였다.[13] 그는 공동체의 집단 무의식과 공동체가 위치한 지역성이 언어와 역사의 형성에 관여한다는 구조주의 원형사관을 창안하였다.[12] 1983년 한국수학사학회를 창립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으며,[14] 1994년에는 동생 김용국 한양대학교 교수와 함께 웅진씽크빅의 전신인 웅진출판의 수학 학습지 개발에 참여하였다.[15][16] 평생 150여 권의 책을 집필하였다.[11]
2. 1. 유년 시절 및 교육
김용운은 1927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11] 와세다 대학 광산과에 입학했으나, 해방을 맞아 중퇴하고 1946년 아버지의 고향인 전라남도 나주로 귀향하였다.[12] 1947년부터 목포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등에서 수학 교사로 재직하면서 수학을 대중화할 필요성을 느꼈고, 후일 여러 수학 대중서를 집필하는 계기가 되었다.[13]이후 조선대학교 수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7][18] 10여 년 동안 교편을 잡은 뒤 미국과 캐나다에서 유학하면서 오번 대학교에서 이학 석사, 앨버타 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2]
2. 2. 교직 생활 및 학문 활동
김용운은 1947년부터 목포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등에서 수학 교사로 재직하면서 수학을 대중화할 필요성을 느꼈고, 이는 훗날 여러 수학 대중서를 집필하는 계기가 되었다.[13] 10여 년 동안 교편을 잡은 뒤 미국과 캐나다에서 유학하면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2] 1962년부터 1965년까지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조교수로 재직했다.[11] 1969년부터 1993년까지 한양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재직했다.[11]197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수학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13] 1980년대부터는 수학과 역사를 접목하여 한국과 일본을 비교문화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13] 1983년 한국수학사학회를 창립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14]
2. 3. 사회 활동 및 저술 활동
1994년 동생 김용국 한양대학교 교수와 함께 웅진출판(현 웅진씽크빅)의 수학 학습지 개발에 참여했다.[15][16] 2000년부터 2003년까지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을 역임했고, 한일 문화 교류 회의 위원장과 한국수학문화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11] 평생 150여 권의 책을 집필하였다.[11]3. 학문적 업적 및 주요 사상
김용운은 수학사를 전공했으며, 한일 역사 및 문화에 관한 저작을 많이 남겼다. 그는 일본어가 백제어의 방계 언어이며, 일본 문화의 기원은 모두 고대 조선이라는 주장을 펼쳤다.[3][4]
3. 1. 구조주의 원형사관
김용운은 공동체의 집단 무의식을 뜻하는 '원형'과 공동체가 놓인 '풍토'가 언어와 역사의 발달에 관여했다는 구조주의 원형사관을 창안했다.[3] 그는 1980년대부터 수학과 역사를 결합하여 한국과 일본을 비교 문화적으로 분석했다.[4] 원형사관을 통해 한국과 일본의 문화, 역사, 언어 등을 비교 분석하고, 두 나라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했다.3. 2. 한국-일본 비교문화 연구
김용운은 1980년대부터 수학과 역사를 결합하여 한국과 일본을 비교 문화적으로 분석했다.[4] 그는 공동체의 집단 무의식과 공동체가 위치한 지역성이 언어와 역사의 형성에 관여한다는 점에 주목했다.[3] 수학사를 전공했으며, 한일 역사 및 문화에 관한 저작이 많다. 그는 일본어는 백제어의 방계 언어라고 주장하는 등, 일본의 문화는 모두 고대 조선이 기원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3. 3. 한국 수학사 연구
김용운은 1980년대부터 수학과 역사를 결합하여 한국과 일본을 비교 문화적으로 분석했다.[4] 그는 공동체의 집단 무의식과 공동체가 위치한 지역성이 언어와 역사의 형성에 관여한다는 점에 주목했다.[3] 1983년에는 한국수학사학회를 창립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5]4. 저서
김용운은 수학, 역사, 문화, 언어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150여 권의 저서를 집필했다.[4] 그의 저서는 학술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대중적인 글쓰기를 통해 일반 독자들에게도 폭넓게 읽혔다. 특히, 1970년대 후반에는 수학사를 연구했으며,[4] 1980년대부터는 수학과 역사를 결합하여 한국과 일본을 비교 문화적으로 분석하는 저술을 많이 남겼다.
4. 1. 주요 저서 목록
5. 평가 및 영향
김용운은 수학, 역사, 문화, 언어 등 다양한 분야를 융합하는 학문적 업적을 통해 독자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한국 수학사 연구의 개척자로 평가받으며, 1983년 한국수학사학회를 창립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하는 등 한국 수학사 연구의 기반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했다.[4][5] 또한, 수학 대중서들을 저술하여 학문적 지식을 일반 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4]
수학사를 전공했으며, 한일 역사 및 문화에 관한 저작이 많다. 일본어는 백제어의 방계 언어라고 주장하는 등, 일본의 문화는 모두 고대 조선에서 기원했다는 주장을 펼쳐, 객관적인 근거가 부족하며 학계의 정설과는 거리가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5. 1. 긍정적 평가
김용운은 수학, 역사, 문화, 언어 등 다양한 분야를 융합하는 학문적 업적을 통해 독자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한국 수학사 연구의 개척자로 평가받으며, 1983년 한국수학사학회를 창립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하는 등 한국 수학사 연구의 기반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했다.[4][5] 또한, 수학 대중서들을 저술하여 학문적 지식을 일반 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4]5. 2. 비판적 평가
수학사를 전공했으며, 한일 역사 및 문화에 관한 저작이 많다. 일본어는 백제어의 방계 언어라고 주장하는 등, 일본의 문화는 모두 고대 조선에서 기원했다는 주장을 펼쳐, 객관적인 근거가 부족하며 학계의 정설과는 거리가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참조
[1]
웹사이트
광산김씨
https://news.joins.c[...]
1982-07-03
[2]
웹사이트
한국 수학사 확립의 일등공신 김용운 교수 별세(종합)
https://www.yna.co.k[...]
2020-05-30
[3]
웹사이트
"북한은 '핵이란 독을 바른 토끼'…한반도 중립화 기회죠"
http://www.hani.co.k[...]
2018-08-19
[4]
웹사이트
수학자 김용운의 1백번째 저서 '카오스의 날개짓'-국민일보
http://news.kmib.co.[...]
[5]
웹사이트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6]
웹사이트
"[학습지 업체] 웅진씽크빅"
https://news.joins.c[...]
2000-11-22
[7]
웹사이트
"[특별기고] 김용운 교수‥國格을 높여야 '한민족 르네상스' 이룬다"
https://www.hankyung[...]
2006-01-01
[8]
웹사이트
"[OBS '명불허전'] 수학자 김용운 교수 \"한중일 뿌리 깊은 갈등, 고대사에 그 답이 있다\" - OBS경인TV"
http://www.obsnews.c[...]
2015-10-09
[9]
저널
최초의 한국수학사 전문가 張起元
http://210.101.116.2[...]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05-31
[10]
뉴스
광산김씨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82-07-03
[11]
뉴스
한국 수학사 확립의 일등공신 김용운 교수 별세(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5-30
[12]
뉴스
“북한은 ‘핵이란 독을 바른 토끼’…한반도 중립화 기회죠”
http://www.hani.co.k[...]
한겨레
2018-08-19
[13]
뉴스
수학자 김용운의 1백번째 저서 ‘카오스의 날개짓’
http://news.kmib.co.[...]
국민일보
1999-11-01
[14]
웹인용
학회소개
https://kshm.jams.or[...]
2020-05-31
[15]
뉴스
이제부터의「수학」 “저, 김용운이 맡겠습니다”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4-01-21
[16]
뉴스
"[학습지 업체] 웅진씽크빅"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00-11-22
[17]
뉴스
"[특별기고] 김용운 교수‥國格을 높여야 '한민족 르네상스' 이룬다"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2006-01-01
[18]
뉴스
"[OBS '명불허전'] 수학자 김용운 교수 \"한중일 뿌리 깊은 갈등, 고대사에 그 답이 있다\""
http://www.obsnews.c[...]
OBS
2015-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